(1) 최근에 종교성과 주관적 복리감간 관계에 많은 관심. 본 연구는 종교성을 복리감의 여러 구성 요소들의 선행요인으로 검토.
(2) 여성을 대상으로
(3) 종교성은 LS의 WB 차원들과 PA(positive affect) & NA(negative affect)와 다른 관계 유형을 보일 수 있다.
(4) 결과는 종교와 복리감간 관계가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. 종교와 복리감간 다양한 관계(직접적, 매개, 억압, 상호 작용 등)로 일관되지 않음.
(5) 종교와 복리감간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미하지만, 규모(크기)는 작은 편이다.